로고

utm 파라미터에 대해 알아보자

1. utm 파라미터란 무엇인가?

2. utm 파라미터를 왜 써야 하는가?

3. 어떻게 써먹을 수 있는가?

4. GA에는 어떻게 연결하는가?

5. 코드에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?




1. utm 파라미터란 무엇인가?


UTM(Urchin Tracking Module) 파라미터는 웹사이트 트래픽의 출처를 추적하기 위해 URL에 추가하는 마케팅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.


기본적으로 5가지 파라미터로 구성되는데,


- utm_source: 트래픽의 출처(어디에서 유입되었는지) (예: google, facebook)

- utm_medium: 마케팅 채널 유형 (예: 검색광고 cpc, 이메일 CRM 광고 - email/ sms, 디스플레이 광고 - display/ banner)

- utm_campaign: 캠페인 이름 (한글도 사용가능하지만, 한글이 있는 인코딩이 요상하게 되는 이슈가 있어 영어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, 예: product_241111)

- utm_term: 키워드 (주로 검색 광고에 사용)

- utm_content: 광고 소재 구분




2. UTM 파라미터를 왜 써야 하는가?


정확한 마케팅 성과 측정이 가능하다.


- 어떤 채널이 가장 효과적인지 정확히 파악

- 캠페인별 성과 비교 가능

- 투자 대비 수익 계산의 기초 데이터 제공


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가능하다.


- 성공적인 마케팅 채널에 더 많은 예산 할당

- 저 성과 채널 개선 또는 중단 결정




3. 어떻게 써먹을 수 있는가?


UTM 링크 생성 예시


https://mywebsite.com?
utm_source=google& // 구글 이라는 매체에서
utm_medium=display& // 디스플레이 유형의 광고
utm_campaign=summer_sale& // 'summer_sale' 이라는 캠페인의
utm_content=banner_image // 'banner_image' 광고 소재에서 유입됨


소셜미디어 광고 성과 추적 (예: 쿠팡)


- 인스타 광고 링크에 utm_source=instagram&utm_medium=cpc&utm_campaign=summer_sale_2023

- 광고별 클릭수, 전환율, 구매액 실시간 비교

- 예: 패션 상품 광고 vs 가전제품 광고 성과 분석



키워드 광고 효과 측정 (예: 구글광고 활용)


- 검색광고 키워드에 utm_term={keyword}

- 키워드별 클릭비용, 전환율 트래킹

- 고효율 키워드 중심 예산 배분





4. GA에는 어떻게 연결하는가?


구글 애널리틱스는 GA에 UTM 파라미터 자동 수집, 트래픽 소스, 캠페인, 매체 자동 분류, 맞춤 보고서 및 대시보드 생성이 가능하다.


GA 연동 과정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.


- Google Analytics 계정 설정

- 웹사이트에 GA 추적 코드 삽입

- UTM 파라미터 포함 링크 사용

- GA에서 보고서 확인


자세한 연동 방법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
참고한 자료: 효과적인 광고 분석을 위한, UTM 설정 3단계 가이드:




5. 코드에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?


자바스크립트 리다이렉트 예시


javascriptCopyconst urlParams = new URLSearchParams(window.location.search);
const utmSource = urlParams.get('utm_source');

// UTM 파라미터에 따른 조건부 리다이렉트
if (utmSource === 'facebook') {
  window.location.href = 'https://example.com/facebook-landing';
} else if (utmSource === 'google') {
  window.location.href = 'https://example.com/google-landing';
}

서버 사이드 리다이렉트 (Python 예시)


from urllib.parse import urlparse, parse_qs

def handle_utm_redirect(request):
    url_params = parse_qs(urlparse(request.url).query)
    utm_source = url_params.get('utm_source', [None])[0]

    if utm_source == 'facebook':
        return redirect('facebook_landing_page')
    elif utm_source == 'google':
        return redirect('google_landing_page')





정확한 데이터 추적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, 팀에서 utm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. 나 또한 이벤트 페이지를 만들며 어떤 페이지에서 유입이 되었는지 개발하고, 모니터링 하는 과정이 너무 신기했고 흥미로웠다. 데이터는 마치 이야기를 말해주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든다.